News

미디어

등록일2025.09.15 [News] 개발 전반 생성 AI 도입…개발문화부터 일하는 방식까지 모두 바꾼다

□    AI 에이전트 기반 차세대 개발 플랫폼 ‘스파로스 데브엑스’ IT서비스 전 과정 적용
□    각 업무 단계 별 최적화된 AI 에이전트 활용해 개발 생산성 30% 향상 목표
□    연내 멀티 LLM 기반 임직원 공통업무 지원 플랫폼 ‘AI허브’도 추가 공개 예정 
□    AI 에이전트들을 이끄는 ‘AI의 리더’로 개발자 역할 재정의…새로운 가치 창출할 것

 

개발자의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스파로스 데브엑스. 이미지는 스파로스 데브엑스 플랫폼 화면으로 좌측에는 채팅 히스토리, 나의 프로젝트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가 마련돼있다. 오른쪽 메인 화면에는 개발 분석, 구조설계, 코딩, 테스트, 운영, 보고서 작성 등 주요 메뉴들이 버튼형으로 노출돼있다.


신세계아이앤씨(신세계I&C)가 생성 AI 기반 차세대 개발 플랫폼 ‘스파로스 데브엑스’(Spharos DevX)'를 IT서비스 전 과정에 적용하며 일하는 방식 혁신에 나선다.

 

신세계아이앤씨의 ‘스파로스 데브엑스’는 개발자(Developer)를 의미하는 ‘데브(Dev)’에 경험(Experience), 전환(Transformation) 등을 의미하는 ‘엑스(X)’를 더해 개발자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하고, 업무 패러다임 혁신을 통해 AX시대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간다는 의미를 담았다.

 

‘스파로스 데브엑스’에는 코딩 에이전트를 비롯한 AI 에이전트들이 하나의 플랫폼에 탑재되어 △시스템 분석 △설계 △개발 △테스트 △품질점검 △운영 단계까지 IT서비스 업무 전 과정을 지원한다. 단순한 코딩 자동화 수준에서 한발 더 나아가 IT서비스의 업무 단계 별 최적화된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한다.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수백 페이지 분량의 문서 작성, 소스코드 생성, 테스트를 통한 오류 검증 등 전 과정에서 활용된다.

 

또한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인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술을 활용해 별도의 커스터마이징 없이도 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시스템을 빠르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다. 특히 기업 내부 문서, 개인정보, 소스코드 등 민감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성을 한층 강화했다.

 

이와 함께 신세계아이앤씨는 연내 멀티 LLM(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임직원 공통 업무 지원 플랫폼 ‘AI 허브’(AI HUB)도 공개할 예정이다. AI 허브는 사내지식 검색, 개인 비서, 보고서 작성, 마케팅 지원 등 핵심 업무 분야에 특화된 AI 에이전트를 기존 시스템 내에서 심리스(Seamless)하게 연동해 사용할 수 있다. 콘텐츠 필터링, 유해 프롬프트 차단, 개인정보 필터 등 기능을 더해 기업 내부에서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신세계아이앤씨는 ‘스파로스 데브엑스’, ‘AI 허브’ 등 AI 기반 플랫폼을 통해 AX 워크플로우에 맞춰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개발 생산성을 30% 이상 향상시키고, 자사 핵심 비즈니스인 IT서비스 경쟁력을 한층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양윤지 신세계아이앤씨 대표이사는 “AX시대의 개발자는 더 이상 코드를 구현하고 분석하는데 머물지 않고,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조율하고 이끌며, 창의적인 성과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AI의 리더’로 진화하고 있다”며 “신세계아이앤씨는 ’스파로스 데브엑스’로 개발자의 역할을 AX시대에 맞게 재정의하며, 개발 생산성과 본업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성과를 창출해 낼 것이다”라고 말했다.